미르나래양 이야기

아이의 MIT 물리학 강의 번역, 그리고 근황

로제티네이처 2014. 5. 18. 15:23

국내 SNOW(www.snow.or.kr)란 사이트에서 평소 MiT 물리학 강의를 즐겨 보고 있었습니다. 이번에 SNOW를 보다가 평소 생각했던 번역을 해 보겠다는 생각을 실천에 옮겨 보았습니다.

MIT 물리학 강의 중 물리 Ⅱ 전기와 자성 중 15강인 '암페어 법칙과 솔레노이드'를 번역하기 시작했습니다. 물리를 듣는 분들에게 제 번역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감사하겠습니다.

기숙사 생활을 하는 관계로 주말에 집에 오면 틈틈히 번역을 더 해 갈 생각입니다.

 

 

http://www.snow.or.kr/lecture/basic_sciences/physics/1092.html

(위 주소는 번역하는 강의 SNOW로 바로 가 보실 수 있는 주소입니다)

 

 

-이하는 제가 현재 번역중인 강의 내용입니다. 번역해서 SNOW에 한글스크립트로 등록해서 진행중입니다-

 

저번 시간에 비오-사바르의 법칙을 통해 우리는 칠판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전류가 있으면 r의 거리에서 자기장이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
원의 접선 방향으로 자기장이, 여기 B, 여기 B, 그리고 그 자기장의 세기가 u0(뮤 제로) 곱하기 I 나누기 2파이r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
당신이 이 원 주위를 걸어다니며 이 원을 dl로 잘게 자르면, 그리고 닫힌 경로의 적분을 계산하면- 그러니까 B 닷(스칼라곱) dl의 닫힌 경로 적분- 모든 곳에 B 닷(스칼라곱) dl을 하면, B랑 dl이 어느 곳에서든 같은 방향이므로 자명하게 이것은 B 곱하기 2파이r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는 u0(뮤 제로)I와도 같습니다.
여기 있는 dl은 저기 dl과 아무 상관도 없습니다.
둘을 혼동하지 마십시오.
저기 dl은 칠판에 수직으로 들어가는, 전류가 흐르는 도선의 작은 한 부분을 뜻합니다.
여기 dl은 그저 이 선을 따라 걸었을 때의 dl입니다.
어느 거리에서(r) 걸었는지는 상관이 없습니다.
항상 이 값은 u0(뮤 제로) 곱하기 I가 됩니다.
B는 항상 r에 반비례하므로 당연합니다.
꼭 원 주위를 걸어야 u0(뮤 제로)I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, 닫혀있기만 하면 이런 식으로 어떤 구부정한 길로 가도 된다는 것을 처음 깨달은 사람은 앙페르입니다.

-번역 중-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이상 아이 블로그 내용을 가져와 봅니다.

 

아이는 얼마전 학교에서 선발을 진행한 R&E에 창의재단으로 뽑혀 다음주부터 교수님과 R&E 연구 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. 학생 4명, 교수님, 학교 담당선생님(담임선생님이 담당 선생님이 되는 행운을)과 함께 물리 관련 주제로 연구하고 실험한 후에 논문을 작성하게 됩니다.

R&E 창의재단에 뽑힐 수 있게 교수님을 섭외해 준 쑥쑥의 지인께 다시 한 번 이 자리를 빌어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^^

 

과고 첫 중간고사도 지나가고, 현재 과제연구라고 학교에서 각자 주제를 정해 연구하고 실험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정신없이 바쁘게 진행되는 학교 스케쥴임에도 학교가 너무 좋고, 행복하다는 아이는 내일 여자농구부 구로구 대회에 참가한답니다. 각 학교별 리그전으로 대회가 치러집니다.